반응형

세금 이야기 108

부동산 계약취소시 위약금 기타소득 원천세 세금 신고방법, 필요경비

부동산 계약파기 위약금 기타소득 필요경비 계약의 위약이나 해약으로 인하여 받는 위약금과 배상금 : 필요경비 없는 기타소득 부동산 계약파기로 인한 경우에는 위약금을 받는 사람이 매도인인지 매수인인지에 따라 신고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매도인 = 양도인 = 부동산을 팔려는 사람 매수인 = 양수인 = 부동산을 사려는 사람 * 위약금을 받는 사람이 '매도인'인 경우 부동산을 사려고 했던 사람(매수인)이 계약을 취소하는 경우 매수인은 계약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되죠. 즉, 계약금이 위약금으로 대체되는 것입니다. 매도인은 다음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매도인 : 종합소득세 신고 (다음연도 5월) (위약금이 3백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종합소득세 신고 생략 가능) 매수인은 따로 세금을 떼지 않고, 지급명세서..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일용직 원천징수 세율 및 신고

* 일용근로자 인건비 줄 때, 국세청에 신고하는 것 2가지 ① 원천세 신고납부 ②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 ​ ① 원천세 신고납부 : 인건비를 준 날의 다음달 10일까지 (연도가 지나서 지급하는 것은 12.31.에 지급한 것으로 본다. 즉 12월 귀속, 1월 지급 -> 12월 지급으로 의제해서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 ②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 인건비를 준 날의 다음달 말일까지 * 일용직 원천세 신고납부 (다음달 10일까지) 일용직 원천징수 세율 ​ : (일당 - 15만원) * 2.7% ​(지방세 별도) ​ ​ ​ 정확히 계산하는 산식은 (일당 - 15만원) * 6% * (1-55%) 인데, = (일당-15만원) * 2.7% 과 같습니다. ​ 예를 들어, 일당이 20만원이면 원천세는 (20만원..

원천세 수정신고 가산세 및 신고 방법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수정신고 가산세)

원천징수 이행상황신고서 수정신고 가산세와 방법입니다. ​ ​ 1. 정기신고일(지급일의 다음달 10일) 이전에 수정하는 경우 ​ : 원천세는 인건비 등을 '지급한 달의 다음달 10일'까지 신고하여야 합니다. 만약 아직 정기신고일이 안 지났다면, 정기신고를 다시하면 됩니다. ​ - 예를 들어, 11월에 인건비를 지급한 경우 -> 원천세 정기신고 기한은 12/10 입니다. ​ 만약 내가 12/1에 원천세 신고를 했는데 잘못했다면 12/10이 지나기 전까지는 정기신고를 다시 하면 됩니다. 12/10까지 신고한 것 중에 마지막에 신고한 정기신고로 덮어쓰기가 됩니다. ​ ​원천세 잘못 신고하면서 납부까지 해버렸다면? ​: 정기신고를 다시 하고, 추가 납부할 금액만 추가적으로 납부하면 됩니다. 원천세 잘못 신고하면서..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일괄제공 서비스

올해부터 근로자의 연말정산 간소화자료를 국세청으로부터 회사로 바로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하는데요. 앞으로 어떻게 바뀔지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일괄제공 서비스」란 : 국세청에서 회사로 바로 연말정산 간소화자료를 제공하는 것 (의무는 아니고 선택사항.)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일괄제공 서비스」 신청 방법 국세청에서 발표한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일괄제공 서비스 이용 안내입니다. 올해 처음 시행되어 추후 구체적인 날짜나 이용방법이 바뀔 수도 있습니다. ① 근로자 -> 회사 '간소화자료 일괄제공 신청서' 제출 - 홈택스 및 국세청 사이트에서 "간소화자료 일괄제공 서비스 신청서" 검색하면 신청서 양식 있음. ② 회사 -> 국세청 '일괄제공 명단 등록' : 홈택스 - [조회/발급..

연말정산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요건, 제출 서류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적용받는 방법 * 장기주택 저당차입금 이란 근로자가 주택을 매수하면서, 그 주택을 담보로 은행한테서 돈 빌린 것 차입금 이란 = 빌린 돈 차입자 란 = 돈 빌린 사람 = 채무자 차입일 이란 = 돈 빌린 날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요건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함) 1. 근로소득자 요건 ① 연말(12.31.) 기준 무주택 or 1주택 소유한 세대의 ② 세대주 ex) 무주택자였다가 연도중에 집을 구입해서 21.12.31.에 2주택 보유하게 되면, -> 21년도에 납입한 이자 전부 소득공제 못받음. 2. 주택 요건 ① 주택 취득 시 기준시가 5억 이하 ② 공제받는 근로소득자 = 주택 소유자 = 차입자(은행에서 대출한 사람 명의) ex) 집은 남편 명의..

일용 지급명세서, 사업 소득 간이지급명세서 국세청 문자 카톡 안내문

요즘 국세청에서 우편물이나 카톡, 문자로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사업소득 간이지급명세서 제출 안내'에 대한 안내문을 받으신 분이 많죠? 내용을 보니 무슨 신고를 하라고 하고 안 하면 가산세가 있다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사업을 하면서 인건비 쓴 게 있나요? ① 인건비를 전혀 사용한 적이 없다면 : 안내문 그냥 무시하면 됩니다! (해당 안내문은 인건비 신고할 때 제출하는 서류에 대한 안내문으로 이번에 제출기한이 변경되면서 우리나라 전체 사업자에게 단순히 안내를 하기 위해 발송한 것뿐입니다.) 안내문을 받았다고 해서 서류 제출 대상이라는 뜻이 아닙니다. 인건비 사용한 게 없으면, 인건비 신고할 것도 없는 거에요. ② 사업하면서 인건비를 사용했다면 : 일용근로자, 프리랜서 사업소득자를 고용했나요? 그렇다면..

[원천징수] 인건비 신고시 먼저 파악해야할 것 (소득의 종류, 소득 구분)

사업장을 운영하면서 인건비를 지출하는 경우 ①원천징수 이행상황신고서를 신고하고 ②간이 지급명세서 ③지급명세서를 제출해야하는데요. 그보다 먼저 꼭!!! 반드시 먼저 파악해야하는 것이 있습니다. 사업자가 지급하는 인건비가 어떤 소득인지 소득의 종류를 파악해야합니다. (그래야 각 소득에 맞는 원천세 신고를 문제 없이 할 수 있기 때문이죠. 소득구분을 잘못해서 신고를 잘못한다면 추후에 원천세 관련 가산세...를 추징당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건비 관련해서는 어떤 소득이 있을까요? 대표적으로 근로소득, 일용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이 있습니다. 참고로... 근로소득과 일용근로소득은 비슷하지만 다른 개념입니다. 소득구분을 하는데는 인건비를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근로장려금 기한후 / 반기신청 지급일

Q. '근로장려금' 결과 언제 나오나요? A. 근로장려금 기한후, 반기신청 지급 예정일입니다. * 21년 상반기 근로장려금 반기신청(9.1.~9.15.신청분) 지급일 -> 21년 12월 말 * 20년 근로장려금 기한후 신청 지급일 -> 21년 6~7월 신청분 : 21년 10월 말 21년 8월 신청분 : 21년 11월 말 21년 9~11월 신청분 : 22년 1월 말

착한임대인 소득공제 착한임대료 세액공제 서류, 한도, 요건

코로나때문에 힘들다고 해서 상가 임대료 깎아줬는데 착한임대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면서요? 어떻게 신청하나요?? 착한임대인 세액공제 * 착한임대료 세액공제 방법 : 종합소득세 신고 시 신청 - 2022년도임대료 인하한 것에 대해 세액공제를 적용받으려면, 2023년 5월에 2022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하면서, + '상가임대료를 인하한 임대사업자의 세액공제'를 적용해서 신고서 작성하고, + 첨부서류 4가지 제출 - 2020년, 2021년도에임대료 인하한 것에 대해 세액공제를 적용받으려면, 2020년, 2021년 귀속 종합소득세 경정청구하면서, + '상가임대료를 인하한 임대사업자의 세액공제'를 적용해서 경정청구서 작성하고, + 첨부서류 4가지 제출 * 착한임대료 세액공제 요건 1. 임차인이 이 건물에 처음..

연말정산 따로 사는 부모님 자녀, 주소지 다른 세대원 소득 공제

별거 중인 부양가족 기본공제 연말정산할 때, 부모님이나 자녀를 기본공제 받을 수 있잖아요? 따로 사는 부모님, 학교 때문에 혼자 기숙사, 자취하는 자녀도 인적공제를 받을 수 있을까요? 다른 세대주 세대원인 부양가족 인적공제 여부 등 * 가능합니다! - 연말정산 인적공제는 '나이요건' & '소득요건'을 둘 다 충족하면 가능하며, ​ 거소를 달리하는 직계존비속 및 배우자도 공제 가능합니다. (형제자매는 동거가 원칙) 1. 나이 요건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 만 60세 이상 직계비속(자녀, 손자녀) : 만 20세 이하 형제자매 : 만 20세 이하 or 60세 이상 배우자 : 나이요건 없음 2. 소득 요건 연 소득금액 1백만원 이하 ↓ 구체적인 소득기준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 2021.12.17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