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Section.1 : Theory
2. 위카의 신들
신은 여신.남신으로 한 쌍이다.
(Deity is twin, consisting of the Goddess and the God.)
모든 종교는 신에 대한 경외심을 가진다. 위카는 위대하고 신성한 힘을 여신과 남신, 두 개의 존재로 의인화하였는데, 두 신은 자연과 연결되기 때문에 자연에서 지내는 모든 순간이 의식이 된다. 동물과 식물, 돌과 모래의 에너지를 느끼고, 해와 달이 떠오르고 지는 것을 보면서 신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자연을 보전하고, 이 소중한 행성을 지키고 존중해야 한다.
'신'은 인간이 영적인 개념을 알기 전에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신성한 힘'은 그 이전부터 존재하였고 우리를 창조했다. 오래 전, 숭배자들은 이 신성한 힘을 이해하기 위해 여신과 남신으로 의인화했는데, 여신,남신을 떠올릴 때 잘 알려진 고대의 신을 대입하는 이들도 있고, 한계가 없는 무명의 여신,남신을 떠올리는 이들도 있다.
여신(The Goddess)
여신은 우주의 어머니로, 풍요로움, 지혜, 사랑의 근원이다. 여신은 처녀, 어머니, 노파이며, 차오르는 달, 보름달, 이지러드는 달로 상징된다. 그녀는 생명과 죽음을 주며, 요람이자 무덤이고, 봄 비이자 폭풍이다. 어둠이 있는 한편, 비옥함, 풍요로움, 사랑을 주는 영원불변한 존재이다.
위칸에서 주로 사용하는 여신의 상징 : 가마솥, 컵, 라브리스(labrys), 다섯잎 꽃, 거울, 목걸이, 조개, 진주, 은, 에메랄드, 토끼, 곰, 부엉이, 고양이, 개, 박쥐, 거위, 소, 돌고래, 사자, 말, 굴뚝새, 전갈, 거미, 벌 등.
남신(The God)
남신은 여신과 동등한 존재이다. 남신은 우리의 머리 위로 떠오르고 지는 밝게 빛나는 태양으로 상징된다. 태양은 우리의 인생에서 끝없는 순환으로 따듯함으로 겨울의 눈을 녹여 대지를 푸르게 하고 생명의 싹을 틔운다. 또한, 남신은 야생동물로 비유되기도 한다.
위칸에서 주로 사용하는 남신의 상징 : 검, 뿔, 창, 초, 금, 황동, 다이아몬드, 낫, 활, 마법 지팡이, 삼지창, 칼, 황소, 개, 뱀, 물고기, 수사슴, 용, 늑대, 수퇘지, 독수리, 매, 상어, 도마뱀 등.
여신과 남신은 우리 삶을 변화시켜준다. 우리는 의례를 통해서 우주 창조의 힘인 신을 불러, 축복받은 마법을 사용할 수 있다. 위칸은 전문적인 중개자 없이 신과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삶에 진정으로 만족하게 되며, 이 점이 다른 종교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아래의 간단한 의식을 통해서 신과의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
- 밤에 달을 보라. 달이 없으면 칠흑같은 어둠 속에 전에 본 적 없이 하얗고 밝게 빛나는 달을 떠올려라.
- 부드러운 달빛을 피부로 느껴라. 달빛이 나의 에너지와 만나 섞이는 것을 느껴보라.
- 여신을 떠올리고 그녀를 불러보라.
- 아침에 태양을 보라. 태양의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남신을 떠올려보라.
일주일 간 매일 같은 시간에 이것을 해보라. 이러한 수행을 통해서 신이 우리 안에, 우리 주변에 살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신을 알고 싶다면, 나무 아래를 걷고, 꽃과 식물을 연구하고, 자연 속에 들어가 냇물의 흐름과 오래된 나무 그루터기와 따듯한 바위에서 여신과 남신의 에너지를 느껴보라.
여신.남신의 제단을 만들기 위해서는 작은 테이블, 초 두 개, 향로, 그릇만 있으면 된다.
초는 제단 뒤쪽에 두는데 왼쪽은 여신, 오른쪽은 남신을 의미한다. 여신은 주로 초록색, 흰색, 은색 초, 남신은 빨간색, 노란색, 금색 초를 사용하곤 한다. 두 개의 초 사이에 향로를 놓고, 그 앞에 그릇을 두어 꽃, 과일, 곡물, 씨앗, 와인, 우유 등을 넣는다. 제단에는 꽃병이나 크리스탈, 돌, 말린 허브같은 물건을 추가할 수 있다.
여신의 초 | 꽃 | 남신의 초 |
향로 | ||
공물 그릇 |
제단에서 간단한 의식을 치를 때는 초와 향로에 불을 붙이고, 그릇에 공물을 두면서 이런 식으로 말 해보라 :
Lady of the moon, of the restless sea and verdant earth,
lord of the sun and of the wild creatures,
accept this offering I place here in your honor.
Grant me the wisdom to see your presence in all nature,
O great ones!
그리고 몇분간 명상을 하면서 내 안에, 내 주위에서 신을 느끼고 신과의 연결을 유지하라. 손이나 초 끄는 용품을 이용해서 촛불을 끄고(초를 불어서 끄는 것은 신에 대한 모욕이다), 향로는 다 타도록 두고 내 일상을 보내라.
항상 제단을 둘 필요는 없으며, 필요할 때마다 임시로 차리면 된다. 의식은 우주를 창조한 힘을 가진 실재하는 신과 내가 연결되도록 조율하는 것이다. 신과의 연결을 통해 내 자신이 완전히 바뀔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한 의식이 맞지 않다면 나만의 의식을 만들면 된다. 저자가 쓴 내용대로 따를 필요 없으며, 자신만의 방법을 만들어라. 위카에는 옳은 정답도, 유일한 방법도 없다.
위카는 여신과 남신의 밝은 측면뿐만 아니라 어두운 측면도 인정한다. 모든 자연은 반대되는 면이 있으며, 우리 자신도 이런 양면성을 가진다. 위칸은 우리가 성장하고 더 나은 존재가 되도록 해주는 신의 밝은 측면을 강조한다. 우리 삶에서 죽음, 파괴, 상처, 고통, 분노가 일었을 때, 위칸은 이것 또한 여신과 남신의 일부이며 자연의 일부임을 알기 때문에 악마를 탓하거나 악을 몰아내달라고 신에게 기대하지 않는다.
여신과 남신은 대자연이고, 밝음이자 어둠이다. 우리는 신을 숭배한다기 보다는 신과 함께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드려 한다. 위카는 참여의 종교이다.
acknowledge 인정하다
divine 신성한
In accordance with ~에 따라
personified 의인화하다
archetypal 원형의
rites 의례
inherent 내재하는
envisioning 상상하다
comforting 안락한
premise 전제
the maiden 처녀
the crone 노파
waxing moon 떠오르는 달
waning moon 이지러드는 달
unploughed 경작하지 않은
dormant 휴면기의
frost-covered 성에 낀
abundance 풍부
toils 고역
temptress 요부
domestication 가축
sacred 신성시되는
fertility 비옥함. 생식력
empower 권한을 주다
rapport 관계
commingling 합류
concurrently 함께
attune 맞추다
dwells 살다
shrine 성지
fossils 화석
contemplation 명상
affront 모욕
polarity 양극성
participatory 참여의